[인문] 부사형 어미 설定義(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부사형 어미 설定義(정의) 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6:39
본문
Download :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hwp
1) 본용언이 보조용언의 부사가 된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일것이다 ‘-아 어, -게, -지, -고’가 부사형 어미가 아니라면 국어에는 부사형 어미가 없는가 부사형 어미가 없다면 용언의 활용 체계 전반이 균형을 잃은 것이 된다. 이는 아무래도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의 관련성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남기심의 「접속어미와 부사형 어미」(1985)는 종래의 접속어미 중 종속접속어미를 모두 부사형 어미로 보았고 이들로 이루어진 절을 모두 내포절이요 부사절이라 규정하였다. 내포문에 있어서 부사절 설정 역시 최근에 자리매김한 것이므로 부사형 어미 설정 역시 6차 교과서까지도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현재 7차 국어 문법 교과서에서는 학계 대다수의 입장을 수용하여 부사형 어미를 설정하는 입장에 있으며 최근에는 대부분 부사형 어미를 설정하는 입장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약
국어의 주요 품사는 체언, 용언, 관형사, 부사의 네 가지이다.
Download :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hwp( 99 )
설명
ƒ) 논의 처리해야할문제의 중요성 및 문제 제기
부사형 어미 설定義(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종래 자격법의...
종래 자격법의 부사형 어미로 알려져 왔던 ‘-아 어, -게, -지, -고’는 모두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접속하여 한 덩어리의 서술어를 이루는 것으로 부사형 어미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리고 이것이 부사형 어미 자리를 비워둘 때의 기형적인 체계를 바로잡는 길임도 한 명분으로 삼았다. 그래서 용언이 다른 품사로 자격을 바꾸는 활용 범주는 당연히 명사형, 관형사형, 부사형의 세...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4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B6%80%EC%82%AC%ED%98%95%20%EC%96%B4%EB%AF%B8%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40_01.gif)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4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B6%80%EC%82%AC%ED%98%95%20%EC%96%B4%EB%AF%B8%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40_02_.gif)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4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B6%80%EC%82%AC%ED%98%95%20%EC%96%B4%EB%AF%B8%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40_03_.gif)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4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B6%80%EC%82%AC%ED%98%95%20%EC%96%B4%EB%AF%B8%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40_04_.gif)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4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B%B6%80%EC%82%AC%ED%98%95%20%EC%96%B4%EB%AF%B8%20%EC%84%A4%EC%A0%95%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40_05_.gif)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종래 자격법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부사형 어미 설definition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순서
[인문] 부사형 어미 설定義(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부사형 어미 설定義(정의) 찬
다.
인문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부사형 어미 설정의 찬
종래 자격법의 부사형 어미로 알려져 왔던 ‘-아 어, -게, -지, -고’는 모두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접속하여 한 덩어리의 서술어를 이루는 것으로 부사형 어미라고 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들이 통사적으로 대등절과 구별되면서 부사적 기능을 한다는 것을 그 근거로 삼았다. 그리하여 새롭게 대두된 부사형 어미 설정에 대해 많은 논의들이 있었는데, 그 주된 논의는 부사형 어미와 종속적 연결 어미와의 관계를 비롯한 전반적인 어미 체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