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 지도의 실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02:01
본문
Download : 전통음악 지도의 실제.hwp
가.…(skip)
다.
8. 전통음악 학습지도상 기타 유의점
우리 음악의 리듬 지도에 있어서 ‘아리랑’을 예로 들어 설명(explanation)하면 다음과 같은 drawback(걸점)들이 있따
가. ‘아리랑’의 지도에 있어서 서양의 ‘월츠’ 4분의 3박자로 지도하면 우리 민요의 제 맛이 없어지기에, 4대박 3분박(9/8박)으로 지도해야 옳다.
Download : 전통음악 지도의 실제.hwp( 97 )
레포트/예체능






전통음악 학습지도 요령, 민요창법 지도 등 전통 음악 지도의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분석한 리포트입니다. 그러면, 이‘시김새’의 원리를 이해하고, 우리 민요의 창법을 살려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함이 바람직하다. 우리 민요의 창법을 알고, 우리 민요 교재는 우리의 음악식으로 학습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우리 음악의 계명창 지도는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서양 악보에 의해 가락을 익히는 수단일 뿐, 율명창으로 지도해야 한다.
순서
전통음악 지도의 실제
,예체능,레포트
7. 서양음악식 민요 부르기 체험(돌림노래)
예를 들어 우리 민요를 두 분단으로 나누어 돌림노래를 하는 방법인데, 같은 민요로 부르는 방법, 그리고 두 곡의 민요로 부르는 방법을 하여 본다. 표현하는 근본원리는 같다고 하겠다. 전통음악지도민요와 , 전통음악 지도의 실제예체능레포트 ,
전통음악지도민요와
설명
전통음악 학습지도 요령, 민요창법 지도 등 전통 음악 지도의 실제적인 방법에 대해 analysis한 리포트입니다.
1. 시김새 지도
전통음악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가 음을 흔들어서 표현하는 기법인데, 기악에서는『시김새』이다.
나. 우리 음악을 서양 음악처럼 조성으로 파악하는 것은 잘못임.
<예> ‘아리랑’은 바장조의 곡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임.
다.
◈ ‘아리랑’은 두도막 형식이라고 하는 것은 잘못임.
◈ 차라리 ‘아리랑’은 메기고 받는 형식의 노래라고 하는 것이 좋음.
◈ 가락을 화성적으로 따지는 것은 잘못임.
Ш. 민요창법 지도
앞에서도 몇번 언급하였지만, 우리 민요의 학습지도를 미련스럽게도 서양음악식으로 지도하고 있는 example(사례) 가 많음을 볼 때, 안타깝기 그지없다..
라. 우리 민요의 5음계를 파(Fa), 시(Si)가 없는 5음계(솔, 라, 도, 레, 미)라 고 보는 것은 잘못임. 우리의 5음계는 서양의 5음계와 음계 구성의 원리 나 성질이 다름.
마. 우리 음악의 악곡 分析(분석)을 서양음악처럼 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