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06:35
본문
Download : [공학]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hwp
(1) 표준조직의 탄소강을 가열한 경우의 조직變化(변화)
담금질, 풀림 등의 실제 열처리에 있어서는 모든 경우 강을 먼저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가열하는데 이것을 오세테나이트화라 한다. 즉 변태온도가 낮아지고 변태가 단일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온도범위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된다. 그리고 911℃의 A3변태점을 약간 넘으면 오스테나이트로의 변태가 스타트된다된다. 이들 새로운 결정은 주위의 페라이트 결정속으로 번져서 결국에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과 부딪칠 때까지 나간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그림 2.1의 상태도는 준안정 상태도이다. 온도를 조금씩 올리면(혹은 일정온도에서도 시간을 길게 하면), 그 새로운 결정은 점점 커지고, 또 동시에 계속해서 새로운 결정이 만들어진다.
먼저 순철의 페라이트를 상온에서 가열해나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600~700℃ 부근까지는 그림 2.1에서와 같은 페라이트조직에 특별한 變化(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어떤 조건하에서 시멘타이트는 더욱 안정한 상인 철과 흑연으로 분해될 수 있다아 그러나 Fe3C는 한번 형성되기만 하며 실질적으로 매우 안정하므로 평형상으로 간주된다된다.
먼저 순철의 페라이트를 상온에서 가열해나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600~700℃ 부근까지는 그림 2.1에서와...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순철은 탄소원자가 함유되면 두 가지의 變化(변화)가 나타난다. 그림 2.1은 그때의 길이變化(변화)와 조직變化(변화)를 설명(說明)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내용이 그림 2.1에 잘 나타나 있다아 엄격하게 말해서 시멘타이트(Fe3C)로 불리 우는 금속간화합물은 평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도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형상태도가 아니다.
(1) 표준조직의 탄소강을 가열한 경우의 조직變化(변화)
담금질, 풀림 등의 실제 열처리에 있어서는 모든 경우 강을 먼저 오스테나이트 상태로 가열하는데 이것을 오세테나이트화라 한다. 이러한 내용이 그림 2.1에 잘 나타나 있다아 엄격하게 말해서 시멘타이트(Fe3C)로 불리 우는 금속간화합물은 평형상이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도는 엄밀하게 말하면 평형상태도가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그림 2.1의 상태도는 준안정 상태도이다. 그 부딪친 부분이 새로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가 된다된다. 즉, A3점 이하의 ①의 상태에서는 페라이트의 1상이 A3점을 넘으면 ②와 같이 페라이트의 결정립계 부분에 작은 오스테나이트 결정이 새롭게 발생한다. 즉 변태온도가 낮아지고 변태가 단일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온도범위에 걸쳐서 일어나게 된다된다. 이와 같이 해서 페라이트가 전부 오스테나이트로 變化(변화)하면 ③과 같이 다시 다각형의 1상 조…(drop)
레포트/공학기술
순서
[공학]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 [공학]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공학기술레포트 , [공학]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다. 780℃에서 강자성체로부터 상자성체로 변하지만 여기에서도 조직變化(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나 이 부근의 온도가 되면 페라이트 결정립의 성장이 일어나기 스타트한다. 어떤 조건하에서 시멘타이트는 더욱 안정한 상인 철과 흑연으로 분해될 수 있다아 그러나 Fe3C는 한번 형성되기만 하며 실질적으로 매우 안정하므로 평형상으로 간주된다된다.
[Engineering]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설명
[공학],기계재료,-,탄소강의,상태도와,상,공학기술,레포트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1.gif)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2.gif)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3.gif)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4.gif)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5.gif)
![[공학]%20기계재료%20-%20탄소강의%20상태도와%20상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5D%20%EA%B8%B0%EA%B3%84%EC%9E%AC%EB%A3%8C%20-%20%ED%83%84%EC%86%8C%EA%B0%95%EC%9D%98%20%EC%83%81%ED%83%9C%EB%8F%84%EC%99%80%20%EC%83%81_hwp_06.gif)
[Engineering]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Download : [공학] 기계재료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hwp( 48 )
탄소강의 상태도와 상
순철은 탄소원자가 함유되면 두 가지의 變化(변화)가 나타난다.